중국에서 대형운석이 추락하면서 큰 사건이 일어날 것이라는 반응이 확산되고있는 가운데, 시진핑(習近平 67) 중국 국가주석의 건강이상설이 나왔다.
시 주석이 뇌혈관 벽에 미세한 균열이 생기고 비정상적으로 부풀어오르는 혈관 질환 뇌동맥류를 일으켜 입원 치료 중이라는 건강이상설이 유튜브와 트위터 등을 통해 퍼지고 있다고 반중 인터넷 매체 간중국(看中國 vision times)이 29일 보도했다.
● 운석이 지면... 중국 정치인이 죽는다? ●
이보다 앞선 크리스마스이브 하루 전날인 지난 23일 중국에서 섬광을 뿜으며 운석이 추락한 사건이 화제가 됐다. 이를두고 중국에서는 “큰일이 날 것이라는 징조”라는 반응이 확산되고 있다.
대체로 당시 사회적으로 발생했던 큰 사건들과 운석 낙하 시기가 맞물려, 전통적으로 운석은 “불길한 징조”라는 인식이 형성돼 있다.
지린성에 유성우가 내린 1971년과 1976년에는 각각 마오쩌둥의 정치적 라이벌 린뱌오가 비행기 추락으로 사망했고 저우언라이와 마오쩌둥이 병으로 사망했다. 운석이 떨어진 1986년에는 후야오방 총서기가 퇴진했고, 대규모 유성우가 내린 1997년에는 덩샤오핑이 사망했다.
● 때마침 시진핑 건강이상설? ●
간중국에 따르면 유튜브로 뉴스를 라이브 스트리밍하는 시사채널 로덕사(路德社 루더)는 전날 시진핑 중국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이 뇌동맥류로 병원에 입원해 수술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로덕사는 중앙군사위원회 주석도 맡고 있는 시진핑 주석이 입원 전에 쉬치량(許其亮) 중앙군사위 부주석, 딩쉐샹(丁薛祥) 당중앙 판공청 주임, 주쉐펑(朱學峰 시진핑 비서), 친동생 시위안핑(習遠平)으로 이뤄진 국가긴급위기관리실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또한 로덕사는 시진핑 주석이 입원으로 인한 유고가 생길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왕치산(王岐山) 국가주석, 리커창(李克强) 총리를 비롯한 다른 6명의 정치국 상무위원을 국가긴급위기관리실 멤버에 포함시키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트위터에도 아르헨티나 소식통과 홍콩 뇌종양 전문가를 인용해 시진핑 주석이 뇌동맥류 수술을 받을 예정이며 상황이 중요하기 때문에 중국 지도부가 특별위기대책 기구를 꾸렸다는 글이 27일부터 올라와 전파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반중 매체 희망지성(希望之聲 sound of hope)은 시 주석이 28일 오후 7시(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하고 신년인사와 함께 양국 협력 강화를 재확인했다는 보도가 나온 것은 건강이상설을 일축하려는 조치라고 해석했다.
일각에선 푸틴 대통령이 전화통화를 기회로 시 주석에 수술을 잘 받으라고 병문안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중국 관례대로 하면 베이징 시간으로 12월31일 오후 6시에 시 주석이 2021년 신년사를 TV로 방송하는데 그의 등장 여부와 실제 모습이 건강에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매체는 지적했다.
시 주석은 작년 3월 프랑스 방문 때 다리를 저는 등 걸음걸이가 부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여 건강에 문제가 있다는 의혹이 일었다. 그간 시 주석의 건강를 둘러싸곤 해외 중국 매체에서 근육 염좌부터 통풍, 중풍까지 다양한 억측을 내놓았다.
시 주석은 2012년 말 국가주석으로 공식 취임하기 몇 달 전에도 공식 석상에 약 2주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입원설, 유고설, 사망설 등 갖가지 추측을 낳았다. 그의 건강 문제는 후계에 대한 불확실성과 맞물려 중국 내외에서 각별한 주목을 사고 있다. 지난 2017년 10월 중국공산당 19차 당대회에서 시 주석은 덩샤오핑 이후 관례화된 차기 지도자 지정을 하지 않았다.
2018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선 국가주석 임기 제한을 철폐하는 헌법 개정안이 통과돼 시 주석은 사실상 장기집권(독재)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이번 시 주석의 건강이상설에 관해 중국 당국은 아직 공식적으로 가타부타 확인하지 않고 있는 상태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8일 자국의 우한폐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능력을 자화자찬했다. 코로나19 유공자를 직접 표창해 성과를 대내외에 과시하기도 했다. 사실상 우한폐렴 종식 선언을 한 것이다.
8일 오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코로나19(우한폐렴) 방역 표창대회’에서 시 주석은 “지난 8개월 여 시간 동안 우리는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전염병 대전을 벌였다”면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코로나19(우한폐렴)에 대항해 투쟁하는 중대한 성과를 거뒀다”고 전했다.
이어 “현재도 코로나19(우한폐렴)가 전 세계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다”며 “중국 인민은 코로나19(우한폐렴)로 고통받고 생명을 빼앗긴 각국 국민과 함께 아픔을 느끼다. 생명을 구하기 위해 애쓰는 사람들에게는 존경을 표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우한폐렴)와 투쟁에 적극적으로 참전한 당, 정부, 공안, 군대, 언론, 홍콩·마카오·대만 교포와 해외 동포에게도 진심 어린 감사를 표한다”고 덧붙였다.
시 주석은 연설을 통해 ‘중대한 성과’라고 언급하는 등 사실상 우한폐렴 종식을 선언하고 자축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까지 이어졌다.
이와 함께 시 주석은 우한폐렴과의 전쟁에서 싸운 이들에게 중국 최고의 영예인 ‘공화국 메달’을 직접 수여했다. 특히 중난산 중국공정원 원사는 최고 영예인 ‘공화국 훈장’을 받아 눈길을 끌었다. ‘사스 영웅’으로도 불리는 그는 우한폐렴 ‘사람 간 전염’을 처음으로 알린 인물이기도 하다.
훈장을 받은 중난산은 “코로나19(우한폐렴) 투쟁이 단계적 승리를 거뒀지만 우리는 여전히 방심할 수 없으며 반드시 신중을 기해야 한다”면서 “전 세계 의료 종사자들과 협력해 우한폐렴 전파 차단,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나설 것이다”고 강조했다.
반면 중국의 이러한 행보에 회의적인 반응이 많다. 그도 그럴 것이 무증상 감염자와 해외 역유입 감염자가 꾸준하게 나오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7일 0시 기준으로 31개 성·시·자치구 내 우한폐렴 신규 확진자는 전날보다 12명 증가했다. 하지만 신규 확진자가 모두 해외역유입 감염자라고 주장하고 있다.
무증상 확진자를 신규 확진자 수치에 포함하지 않는 통계도 지적받고 있다. 최근에는 22일째 본토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다고 공식 발표했지만, 이 기간 중국발 한국행 승객 5명이 확진 판정을 받아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중국이 정치적인 목적으로 방역 성과를 부풀리는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관련 기사엔 부정적인 댓글이 대거 달렸다.
perp**** "몇일전 우한입국 중국인 확진자6명 기사 있었는데어디서 사기쳐? 공산당놈들"
dudu**** "종식선언하고 우리나라로 유입 시킬듯"
kyou**** "이건 뭐지 ????? 차량으로 사람들 들이 받고 난 괜찮아???? 뭐 이런 느낌"